지투지바이오 기업 개요 및 성장성
지투지바이오는 2017년 설립된 약효 지속성 주사제 약물 전달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독자적인 약물 전달 기술인 '이노램프(InnoLAMP)'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루 1~2회 복용하는 약을 한 달에 1회 투여로 줄여 환자 편의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 약효 지속성 주사제 개발 및 제조, CDO/CDMO 서비스
-
임직원 수: 약 50명(2025년 기준)
-
대표이사: 이희용
-
소재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의료단지길 21
지투지바이오 매출 및 재무 건전성
[지투지바이오 매출 현황]
-
2024년 매출액: 76.9억원
-
2025년 1분기 매출액: 0.8억원(786만원)
-
매출 구성(2024년): 치매치료제 36.8%, CDO/CDMO 38.6%, 공동개발 및 연구용역 24.6%
[지투지바이오 손익 현황]
-
2024년 영업손실: 107.6억원
-
2024년 당기순손실: 832.5억원
-
2025년 1분기 영업손실: 28.7억원, 당기순손실 29.0억원
[재무 구조의 특징]
지투지바이오는 전형적인 초기 바이오 벤처의 재무 구조를 보입니다.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있으며, R&D 중심 투자로 인한 대규모 적자와 낮은 매출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2025년 1분기 상환전환우선주 전환으로 부채비율이 79.1%로 개선되었습니다.
지투지바이오 공모주 청약 개요
- 기관경쟁률: 810.6:1 (2,446개 기관 참여)
- 의무보유확약비율: 15.6%(6개월 86건, 3개월 39건, 1개월 159건, 15일 179건)
- 유통가능물량: 약 190만주(1,101억원 규모), 기존 주주 비중 53.4%
- 확정공모가: 58,000원(희망공모가 최상단)
유통가능 물량 및 오버행 리스크
지투지바이오의 가장 큰 투자 리스크는 높은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비중입니다.
-
상장 직후 유통가능 주식: 35.39%(189만9926주)
-
상장 1개월 후 유통가능 주식: 74.60%로 급증
-
기존주주 비중: 상장 첫날 유통주식 중 52.6%
-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 유통금액: 1,101억원
FI(재무적투자자)들의 보호예수가 1개월에 그쳐 단기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투지바이오 자금 사용 계획 및 미래 전략
[공모자금 활용 계획]
-
제1 GMP공장 증축: 30억원
-
제2 GMP공장 신축: 177억원(총 409억원 중 공모자금 활용분)
-
파이프라인 확장 등
[미래 성장 전략]
지투지바이오는 2027년 완공 예정인 제2 GMP공장을 통해 세마글루타이드 기준 연간 700만명분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현재 베링거인겔하임과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형 계약을 체결했으며, 글로벌 대형 제약사 2곳과 공동개발 협약도 맺었습니다.
지투지바이오 투자 시 고려사항
[긍정적 요소]
-
독보적인 이노램프 플랫폼 기술력
-
글로벌 빅파마와의 계약 체결 성과
-
GLP-1 계열 비만·당뇨 치료제 시장 성장
-
기술특례 상장으로 기술력 인정
[부정적 요소]
-
자본잠식 상태의 재무구조
-
높은 오버행 리스크(상장 1개월 후 유통물량 74%)
-
특허 분쟁 이력 및 출원 거절 사례
-
2027년까지 흑자전환 불투명
지투지바이오 요약포인트📌
지투지바이오는 혁신적인 약물 전달 기술과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본잠식 상태의 재무구조와 높은 오버행 리스크는 단기 투자에 부담 요소입니다.
장기 관점에서 기술력과 사업 성과를 면밀히 관찰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0 댓글